세미나 일시: 2025년 2월8일 (토요일) 5:00 pm (PST: Pacific Standard Time); You can join a Zoom meeting (15 min early).
세미나 링크: https://us02web.zoom.us/j/5069639349?pwd=aDF2SUltK3ovRWxTVmVsOHhLTjdidz09 (Click the link to join Zoom meeting).
초청 강사: 조중행 의학박사 (전 서울대 분당 병원 국제진료 센타장)
Happy Lunar New Year!
새해를 맞아 여러분들이 하시는 일과 가정에 행운이 가득하고, 무엇보다도 항상 건강하시기를 바랍니다.
SNU Forum 2025년 2월 세미나 일정 (제목, 강사, 약력)을 보내드립니다.
주의사항 (매월 2째 토요일, 미국 서부시각 오후 5시): 2025년SNU Forum은 매월 둘째 토요일 시애틀 시각으로 오후 5시 (한국 시각으로 일요일 오전 10시)에 시작합니다. 착오 없으시기를 바랍니다.
2025세미나 발표예정자 (매월 2째 토요일, 미국 서부 오후 5시):
1월 (Seoul): 김재만 회장 (한국자동차공학 한림원) – 한국자동차 산업의 어제, 오늘과 내일의 이야기
2월 (Chicago): 조중행 의학박사 (전 서울대 분당 병원 국제진료 센터장) – 질병과 예술적 창의성 (Disease, Creativity and Art)
3월 (Seoul): 이우일 박사 (대한민국 국가기술자문위원회 부위원장) – 한국의 과학기술 현황과 정책 방향
4월 (Los Angeles): 최운화 은행장 (Uniti 은행) – 세계경제의 동향: 미국, 한국경제를 중심으로
5월 (Seoul): 이수영 교수 (KAIST 명예교수) – 인공지능의 특이점은 과연 올 것인가? (Will the AI singularity ever come?)
6월 (Seoul): 안상훈 박사 (삼성전자 수석 연구원) – 한국 차세대 반도체 산업의 현황과 미래 (Current Status and Future of Korea’s Next-Generation Semiconductor Industry)
7월 (Los Angeles): Ah-Hyung Park 교수 (UCLA Engineering Dean,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 신 탄소경제와 청정에너지 전환 (Carbon Economy and Clean Energy Transition)
8월: No Seminar (서울대 워싱턴 동창회 장학금 수여식 및 여름야유회)
9월 (San Diego): 김인철 박사 (Vice-Chairman, Kainos Medicine) – 바이오 기술과 산업의 현재와 미래
10월 (Los Angeles): Dennis Hong 교수 (UCLA 교수) – 인공지능기반 자율 로봇 시스템 (AI-Enabled Autonomous Robot System): Need to confirm schedule
11월 (Houston): 정철균 박사 (Schlumberger) – 세계적인 에너지 자원 (석유, 가스) 문제
12월: No Seminar (서울대 워싱턴 동창회 정기 총회 및 송년파티)
TBD (Seattle): Dave Oh (Senior Researcher, Dell Technologies AI Services) – AI 산업별 활용사례 및 적용 (Introduction to AI Industry Use Cases and Solutions)
TBD (Seattle): 김재훈 박사 (보잉 연구소 Executive Technical Fellow) – 세상을 움직이는 사람들과 창조적 혁신의 비밀 (Loonshots: the Creative Innovation)
TBD (Seoul): 정규석 박사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초대원장, 한국이동통신 연구원장) – 세계 최초 CDMA 기술 상용화의 뒷이야기 와 이동통신의 미래 (TB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SNU Forum 2025년 2월 세미나
2025년 2월 SNU Forum 초청강사는 전 서울대 분당병원 흉부외과 교수겸 심장센터장을 역임하신 조중행 의학박사님입니다. 분당 서울대 병원 국제진료 센타장(2015-2020)역임후에 은퇴하셨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인간이 겪을수 있는 질병과 그 질병이 인간의 예술적 창의성 (Disease, Creativity and Art)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보도록 합니다. 인간은 출생, 성장,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통하여 수많은 육체적 정신적 질환을 앓게되고 예술가들도 예외는 아니어서 이런 질병의 고통을 겪을 수 있습니다. 역사상 큰 업적을 남긴 한국 또는 외국의 예술가중에서 많은 분들이 다양한 종류의 질병을 겪었음으로, 이런 예술가들의 다양한 질병이 미술, 음악, 문학등에서 이루어 놓은 이분들의 작품들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돌아보고, 창작과정에서 인간의 몸에 일어나는 변화에 대한 현대의학의 최근 연구 방향을 돌아보는 기회를 갖고자 합니다.
이번에도 많은 분들이 참여하여 질의응답과 열띤 토론이 있기를 바랍니다.
참고로, 아래에 2025년도 초청강의 발표예정자와 최근 4년간 발표자 및 제목을 첨부했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세미나 일시: 2025년 2월8일 (토요일) 5:00 pm (PST: Pacific Standard Time); You can join a Zoom meeting (15 min early).
세미나 링크: https://us02web.zoom.us/j/5069639349?pwd=aDF2SUltK3ovRWxTVmVsOHhLTjdidz09 (Click the link to join Zoom meeting).
초청 강사: 조중행 의학박사 (전 서울대 분당 병원 국제진료 센타장)
강의 제목: 질병과 예술적 창의성 (Disease, Creativity and Art)
강의요약: 인간은 출생, 성장,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통하여 수많은 육체적 정신적 질환을 앓게되고 예술가들도 예외는 아니어서 이런 질병의 고통을 겪을 수 있다. 역사상 큰 업적을 남긴 한국 또는 외국의 예술가중에서 많은 분들이 다양한 종류의 질병을 겪었음으로, 이런 예술가들의 다양한 질병이 미술, 음악, 문학등에서 이루어 놓은 이분들의 작품들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돌아보고, 창작과정에서 인간의 몸에 일어나는 변화에 대한 현대의학의 최근 연구 방향을 돌아보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초청강사 약력:
- 1963-1969: 서울의대, 의예과—본과
- 1969-1973: 서울의대 대학원/석사–박사 과정; 서울대학병원 흉부외과 수련(인턴 레지덴트)
- 1973-1980: 미국 일반외과 및 심혈관 흉부외과 수련(미국 레지덴트)
- U.PA,PHILADELPHIA AND STATE UNIV. NY. BUFFALO SYSTEM
- 미국 외과 전문의, 한국 & 미국 흉부외과 전문의 (미국 & 한국 외과 학회원)
- CARDIAC,VASCULAR, THORACIC SURGEON (1980-2020)
- ADVOCATE SHERMAN HOSPITAL-CARDIAC CENTER(1980-2014) CHICAGO,IL
- 분당서울대 병원 흉부외과 교수겸 심장센타장(2003-2005)
- 분당 서울대 병원 국제진료 센타장(2015-2020 은퇴)
_____________________
Zoom meeting
Click the link below to join Zoom Meeting
https://us02web.zoom.us/j/5069639349?pwd=aDF2SUltK3ovRWxTVmVsOHhLTjdidz09
Meeting ID: 506 963 9349
Passcode: SNU_FORUM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참고로, 2025년도 발표예정자와 최근 4년간 세미나 발표자와 제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5세미나 발표예정자 (매월 2째 토요일):
1월 (Seoul): 김재만 회장 (한국자동차공학 한림원) – 한국자동차 산업의 어제, 오늘과 내일의 이야기
2월 (Chicago): 조중행 의학박사 (전 서울대 분당 병원 국제진료 센터장) – 질병과 예술적 창의성 (Disease, Creativity and Art)
3월 (Seoul): 이우일 박사 (대한민국 국가기술자문위원회 부위원장) – 한국의 과학기술 현황과 정책 방향
4월 (Los Angeles): 최운화 은행장 (Uniti 은행) – 세계경제의 동향: 미국, 한국경제를 중심으로
5월 (Seoul): 이수영 교수 (KAIST 명예교수) – 인공지능의 특이점은 과연 올 것인가? (Will the AI singularity ever come?)
6월 (Seoul): 안상훈 박사 (삼성전자 수석 연구원) – 한국 차세대 반도체 산업의 현황과 미래 (Current Status and Future of Korea’s Next-Generation Semiconductor Industry)
7월 (Los Angeles): Ah-Hyung Park 교수 (UCLA Engineering Dean,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 신 탄소경제와 청정에너지 전환 (Carbon Economy and Clean Energy Transition)
8월: No Seminar (서울대 워싱턴 동창회 장학금 수여식 및 여름야유회)
9월 (San Diego): 김인철 박사 (Vice-Chairman, Kainos Medicine) – 바이오 기술과 산업의 현재와 미래
10월 (Los Angeles): Dennis Hong 교수 (UCLA 교수) – 인공지능기반 자율 로봇 시스템 (AI-Enabled Autonomous Robot System): Need to confirm schedule
11월 (Houston): 정철균 박사 (Schlumberger) – 세계적인 에너지 자원 (석유, 가스) 문제
12월: No Seminar (서울대 워싱턴 동창회 정기 총회 및 송년파티)
TBD (Seattle): Dave Oh (Senior Researcher, Dell Technologies AI Services) – AI 산업별 활용사례 및 적용 (Introduction to AI Industry Use Cases and Solutions)
TBD (Seattle): 김재훈 박사 (보잉 연구소 Executive Technical Fellow) – 세상을 움직이는 사람들과 창조적 혁신의 비밀 (Loonshots: the Creative Innovation)
TBD (Seoul): 정규석 박사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초대원장, 한국이동통신 연구원장) – 세계 최초 CDMA 기술 상용화의 뒷이야기 와 이동통신의 미래 (TB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24세미나 발표자 (매월 2째 토요일):
1월 (Los Angeles): 송명국 박사 (California State University Long Beach) – 챗GPT와 생성 AI 를 둘러싼 쟁점들 (The Controversies Surrounding ChatGPT and Generative AI)
2월 (Los Angeles): 장소현 시인, 작가, 평론가 (Los Angeles) – 한류의 저력: 한국 현대미술을 중심으로 (The Power of Korean Wave (Hallyu): Focusing on Korean Contemporary Art)
3월 (Los Angeles): 한홍택 박사 (UCLA Distinguished Professor) – 전기차와 테슬라 (Electric Mobility Technology and Tesla)
4월 (Los Angeles): 위종민 박사 (Parsons Engineering 선임기술고문, Retired) – 사우디의 추억과 이슬람문화 이해 (Memories of Saudi Arabia and Understanding of Islamic Culture)
5월 (New York): 문국상 박사 (J.P. Morgan 부사장) – 핀테크: 정보기술을 이용한 재정 관리및 투자 (Fintech: IT-based Financial Management and Investment)
6월 (Seattle): Jennifer Sohn (변호사) – 세금, 상속 및 효율적인 자산관리에 대하여
7월 (San Francisco): 이진형 박사 (Stanford University 교수) – 인공지능과 뇌 건강의 미래 (AI and the Future of Brain Health)
8월: No Seminar (서울대 워싱턴 동창회 장학금 수여식 및 여름야유회)
9월 (Los Angeles): 김동석 박사 (전 UCLA 교수) – 무엇이 한국 음악 인가?: 국악이야기
10 월 (Chicago): 박지웅 박사 (University of Chicago 교수) – 마술같은 원자 두께의 회로 (원자 스케일의 얇은 신소재 개발)
11월 (Chicago): 정호 박사 (전 Argonne 국립연구소 PM, 한국과학원, 대구과학원, 서울대 초빙교수) – 러시아 근세 역사: 서구화로 이뤄낸 세계문화의 리더쉽
12월: No Seminar (서울대 워싱턴 동창회 정기 총회 및 송년파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23세미나 발표자 (매월 2째 토요일):
1월 (Seattle): 이정현 교수 (UW Medical School) – 암 면역치료의 과거–현재–미래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Cancer Immunotherapy)
2월 (Pasadena): 권순영 박사 (President, NEI Foundation) – 자랑스런 한국인, 아프가니스탄 사막에 기적을 심다 (아프가니스탄의 영양실조 퇴치를위한 자조자립형 콩 가치사슬 (Soy Value Chain) 개발)
3월 (Los Angeles): 위종민 박사 (Parsons Engineering선임기술고문, Retired) – 물 부족과 해수 담수화 (Water Shortage and Seawater Desalination)
4월 (Vancouver, Canada): 권오율 박사 (Australia Griffith University명예교수) – 사회적 신뢰와 한국경제 (Social Trust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Case of South Korea)
5월 (Los Angeles): 이청 교수 (California State University명예교수) – 알기쉬운 양자역학: 양자컴퓨터 이야기 (Basic Quantum Mechanics: Story of Quantum Computer)
6월 (Seattle): 김영진 박사 (Microsoft) – ChatGPT와 미래 업무 환경탐색 (ChatGPT and the Future of Work: Navigating the Transformative Landscape)
7월 (Los Angeles): Dr. Jasung Kim, MD (김자성 Psychiatry Clinic 원장) – 통합심리학의 대가 켄 윌버 (Ken Wilber)의 사상: 미래의 종교를 중심으로
8월: No Seminar (장학금수여식 및 여름야유회)
9월 (Seattle): 김명호 (음악 여행 마니아) – 프랑스 지베르니 여행: 인상주의와 모네 (Journey to Giverny: Impressionism and Monet)
10월 (Seattle): 하용출 교수 (UW Center for Korea Studies, Director) – 전통상실의 한국사회: 관광상품화된 전통
11월 (Los Angeles): 양승문 박사 (Baycore Wireless) – 무선 전자통신의 발달 진화: 과거, 현재, 미래 (Wireless Communications Evolution: Past, Present, Future)
12월: No Seminar (정기총회 및 송년파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22세미나 발표자 (매월 2째 토요일):
1월 (Mountain View): 손정석 Senior Software Engineer (Google) –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기본개념 이해 (Understanding Basics of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
2월 (Seattle): 서희경 APIIS Financial Group 부사장 (재정전문가/ 연방세무사) – 세계는 은퇴중: 전반적인 재정계획 Generalized Financial Planning
3월 (New York): 임채민 박사 (CSO, A2A Pharmaceuticals) – 인공지능을 이용한 신약개발 동향 및 전망
4월 (New York): 위정재 박사 (인하대 고분자공학과 교수) – 배터리와 전선없이 움직이는 초소형 소프트로봇과 가변형 디바이스
5월 (Seattle): 김영진 박사 (Principal Researcher, Microsoft) – 언어 처리 인공지능 어디까지 왔나?
6월 (Portland): 한국남 박사 (SDSMT Distinguished Professor Emeritus) – 희토류 금속 (Rare Earth Elements)과 자원 안보
7월 (Seattle): Mrs. 김명호 (음악 마니아) – ‘가곡의 왕’ 슈베르트 음악 여행을 떠나요
8월: No Seminar (장학금수여식 및 여름야유회)
9월 (Seattle): 박찬형 박사/이제선 변호사/우상순 박사 – 암 치료약 특허: 비타민 C 차단으로 항암효과 (A Novel Way of Cancer Therapy by Depletion of Vitamin C)
10월 (Seattle): 김대현 박사 (워싱턴 대학 교수) – 천기누설: 미래를 내다보는 대기과학
11월 (New York): 구창화 예술가 (New York MET박물관 예술 전문가이드) – 문화미술 여행: 미술과 역사의 길따라
12월: No Seminar (정기총회 및 송년파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21세미나 발표자 (매월 2째 토요일):
1월 (Seattle): 김재훈 박사 (Boeing 연구소) – 무인비행체 드론은 왜 Drone (수벌)으로 불리게 됐을까?: 무인비행체(UAV) 드론의 개발과 응용
2월 (San Diego): 백우현 박사 (전 LG Electronics President & CTO, Qualcomm Technology Sr. VP) – Digital HDTV and Home Theater
3월 (New York): 강성권 박사 (전 IBM TJ Watson and IEEE Fellow) – 21세기 아동교육: Educating the 21st Century Children with 3Q (IQ, EQ, AQ)
4월 (Los Angeles): 한홍택 박사 (UCLA Distinguished Professor Emeritus) – Retirement Planning Do-It-Yourself (본인이 직접하는 은퇴계획)
5월 (Boston): 백혜민 박사 (MIT Post-Doctoral Research Fellow) – 전고체 배터리 (All-Solid-State Battery) 연구의 현재 상황과 미래
6월 (Chicago): 정호 박사 (전 Argonne 국립연구소 PM, 한국과학원, 대구과학원, 서울대 초빙교수) – 과학과 음악: 산업혁명이후 음악예술에 미친 과학과 공학
7월 (Seattle): 류성렬 박사 (Soft-Tech International Inc., President) – 공학으로 본 세상: 생활속의 기계공학 이야기(2)
8월 (New York): 이효준 박사 (Senior Data Scientist, S&P Global) – 데이터과학으로 보는 세상 (Understanding our world with data science)
9월 (Seattle): 황인수 박사 (Senior Principal Researcher, Google) – 가상현실 기술이 우리의 미래생활에 미치는 영향 (Virtual Reality and Impact to our Future Life)
10월 (Chicago): 박선영 박사 (시카고대학Geophysical Sciences학과 조교수) – 지진학 (Seismology) 이란 무엇인가?
11월 (Seattle): Mrs. Myoung Kim (고전음악 마니아): Journey to Classical Music (3) – 비엔나 오스트리아 음악여행 (Musical Journey to Vienna Austria)
12월: No Seminar (정기총회 및 송년파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김재훈
Jae H. Kim
425-786-7723 (C)
425-681-4253 (B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