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자들과 투자자들을 위한 주식과 회사의 가치 평가 (3/11 6:00 PM PT)

일시: 2024년 3월 11일 (화) 오후 9시 (동부 시간)
제목: 경영자들과 투자자들을 위한 주식과 회사의 가치 평가 (Valuation of a stock and the company as a JURIDICAL PERSON for managers and investors}
연사: Hyuna Park, Ph.D. (박현아 공대 88), Professor of Finance & Herb Kurz Chair, Brooklyn College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CUNY)

ZOOM

개요:

회사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투자자들과 경영자들에게 모두 중요한데 기관 투자자들이 현재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Discounted Cash Flow 같은 절대 평가 방식과 EV EBITDA multiples 같은 상대평가 방식이다. 하지만 이런 분석방식과 여기 사용되는 회계 데이터는 제조업이 주류이던 시기에 개발되었기에 회사 내부에서 개발된 기술과 인적자본 같은 무형자산 (Internally developed intangible assets)의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여 unrecorded intangibles이 많은 주식들의 가치를 저평가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은 무형자산에 많이 투자하는 기업인들 입장에서는 회사의 수익과 가치가 저평가되어 투자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초래하지만 무형자산 분석에 전문성을 가진 투자자들의 경우 향후 막대한 수익을 낼 수도 있는 투자 기회가 된다. 특히 인공지능과 Large Language Model 같은 컴퓨터 기술의 발달은 회계 장부에 기록된 숫자 뿐 아니라 매년 몇 백만 페이지씩 공식 발행되는 기업의 연간 보고서등 양질의 텍스트 데이터 분석을 빠른 시간안에 적은 비용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무형자산이 많은 기업의 경우 인적자본이 회사 가치의 핵심인 경우가 많으므로 이 세미나에서는 인적자본등 무형자산의 가치를 높이는 경영과 이를 반영한 주식 포트폴리오의 구성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또한 이 세미나는 무형자산의 비중이 높은 기업에 대한 투자 분석시 반드시 알아야 하지만 잘못 이해하기 어려운 사항들에 대해서도 소개할 예정이다.

경력:

  • 서울대 공대 공업화학과 학사(1992) 석사(1994)
  • 에너지관리공단 기후변화 담당 과장 (국무조정실 기후변화 전문가그룹의 일원으로  OECD 및 UN FCCC회의 참가)
  • 서울대 기술정책 박사과정 (1999 – 2001) 재학 중 미국 유학 (1998년 IMF 사태를 통해  자본시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책 결정 과정에서 기술과 다른 경영경제 분석의 역할을 경험하고 이를 연구하고자 함)
  •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Finance PhD (2007) (헤지펀드 투자기법과 리스크 분석)
  • Minnesota State University Mankato, Finance Department (2007-2015) Assistant professor (2007-2012), Associate professor (2012 – 2015)
  • CUNY Brooklyn college, Hebert Kuz Chair in Finance and Risk Management, Associate professor (2015-2021), Professor (2021- present)

교육 및 연구 업적

  • 미네소타 주립대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2008년 미국 금융위기 자료를 분석 하던 중 기술이나 인적자본 같은 무형자산을 저평가하는 재무회계 규정의 구조적 문제점에 대한 연구로 2015년 국제 재무학회 Financial Management Association (FMA) International 투자분석 부문 우수상 후보로 선정 Semi-finalist, Best Paper Awards in Investments
  • 브루클린대 동문들의 기부로 조성된 기금을 바탕으로 헤지펀드 자산 운용을 위한 주식 분석 교육과정을 성공한 동문 투자 분석가들과 함께 개발하고 운영하여 이 교육을 받은 제자들이 JP Morgan, Oppenheimer, Alliance Bernstein, Citi Group, UBS, Vanguard, S&P Global, KPMG, PwC, Bloomberg 등 주요 기업에 취업하고 하버드와 콜롬비아 법대 및 대학원등에 합격
  • 2019년부터 무형자산 가치평가를 위한 텍스트 데이터 분석에 인공지능과 머신 러닝 기법을 도입하여 회사내 자체 개발된 기술 등 장부에 기록되지 않은 무형자산을 새롭게 반영한 가치 투자기법이 기존의 주식 분석 기법에 비해 포트폴리오 수익성이 높음을 보여주는 실증 분석 연구 결과를 주요 재무 학술지와 2024 FMA Annual Meeting등 주요 학회를 통해 발표

서울대학교 미주동창회

서울대학교 미주동창회